정확한 진단으로 보이지않는 부분까지
찾아내 집중 치료를 합니다.
정확한 진단으로
보이지않는 부분까지 찾아내 집중 치료를 합니다.
이석증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귀 안쪽의 전정기관에는 이석이라는
칼슘 부스러기가 존재합니다.
이석이 제위치를 벗어나
세반고리관으로 들어갈 때가 있습니다.
세반고리관은 신체의 회전 및 가속을 느끼는 부위로
이석이 이 부위에 들어가면 몸을 움직일 때 마다
몸이 빙빙 도는 어지럼증, 현기증 등을
느끼게 됩니다.
‘달팽이관 어지럼증’ 으로도 불리는
이러한 어지럼증을 이석증이라고 합니다.
내이 안에 석회화된 덩어리(이석)가 있는 경우 생기며, 머리를 움직일 때 몇 초 내기 30초를
넘지 않는 어지러움이 발생하고 진정기관 장애로
어지러움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입니다.
이동성 결석이 발생한 대표적 원인
이석은 반고리관 주변에 위치하며
균형 유지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떤 이유로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판 내부에 액체에 흘러 다니다
붙어 있게 되면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어지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오는 이유는
외부 충격, 바이러스 감염, 약물의 부작용,
림프순환 장애, 스트레스 등 이며
확실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습니다.
이석증과 일반적인
어지럼증은 다릅니다.
“어지럼증이라도 증상이 다
똑같지 않습니다.
정확하게 증상을 비교하세요.”
이석증은 귀 어지럼증 증상이 특징이 있어
일반 어지럼증과는 다릅니다.
대표 증상은 고개를 젖히거나 누울 때,
혹은 특정 방향으로 머리를 돌리는 경우 나타납니다.
갑자기 머리가 핑핑 도는 듯한 극심한
어지럼증 증상이 나타나며 10~20초 가량
짧게 지속되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석증 증상이 심할 때는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하며,
눈 움직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림프순환 장애
이석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심폐 기능과 심혈관 장애는
림프순환장애로 이어지고
이석증의 발병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림프순환은 전신의 순환기능을 관장하는 기능으로
심폐, 심혈관 기능이 떨어지면
림프순환 장애로 이어집니다.
특히 귀와 뇌와 관련된 신경이 밀집된 뇌후부두와
경추횡돌기 부위가 경직되었을 경우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림프순환 장애가 생기며
이석증의 발병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석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영양공급을 충분하게 하여 혈액을 늘리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혈관계의 기능을
개선해야 합니다.
심폐 기능을 강화하고 식욕을 증진하며 가래를
제거하여 림프순환을 촉진해야 합니다.
이와 동시에 경직된 뇌후두부와 경추부위를
집중 치료하여 몸 전체의 순환이 잘 되게 해야 합니다.
귀와 뇌와 관련된 신경이 밀집된
뇌후두부와 경추횡돌기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
교정치료를 통해 림프순환을
촉진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첨단 다원 검사 시스템
눈으로 볼 수 없는 신경장애 손상!
첨단 검사 시스템으로 이상 검사와
상태를 측정
어지럼증은 대부분 외면적인 검사만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찾지 못한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아예 원인조차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종한의원은 미세한 부분까지 진단하는
다원적인 검사시스템으로 신경 이상과
오장육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어지럼증의 원인을 찾습니다.
안진검사기(VNG)
안구 움직임을 촬영하여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측정하고 여러가지 중추 신경장애의 원인을 파악
체열진단검사
머리와 목 경계 주변 부위의 신경 혈액순환과
저하된 신체 기능 상태를 체열로 진단
맥진검사
어지럼증과 신경손상 원인을
오장육부 기혈흐름으로 파악
뇌순환과 신경계 강화
치료 시스템
기혈 순환과 신경계 강화 집중치료
단단하게 굳어 있는 뇌후두부와 뇌척수,
경추횡돌기 부위의 경직을 해결하고
순환을 촉진시켜 뇌 순환 재생과 신경계 강화를
유도합니다.
귀와 목, 뇌주변의 신경, 혈액의 흐름을
전방위적으로 교정하고 신경전달을 유지하여
몸의 중심을 바로 잡습니다.
세종한의원에서는 침치료와 약침치료,침도치료,
추나요법 등을 병행하며 개인별 맞춤 치료를
원칙으로 합니다.